步由心生, 걸음걸이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독서] 나로 살기로 했다. (심리학, 자존감) 본문
커튼 코베인은 말했습니다.
"내가 아닌 모습으로 사랑받느니 차라리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으로 미움받겠다."
여러분은 이 말에 동의하시나요?
애매한 나이에 애매한 경력과 애매한 실력, 초라하고 부족하고 아무것도 아닌 사람...
어쩌다 나는 이렇게 애매한 어른으로 자라버렸을까? 고민해보신 적이 있을겁니다.
아무리 책을 읽어도 누군가에게 물어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았던 이 의문의 간단한 결론은,
결국 우린 아무런 잘못이 없으며 나로서 당당하게 살아가면 된다는 것입니다.
냉당함 세상에서, 잘못한 것도 없이 스스로를 질책해야 했던 모든 분들에게 나로써 당당히 살아가는 것에 대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안할려 합니다.
1. 단단한 자존감을 다질 것
세상의 기준과 평가에 상관없이 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을 키워야 합니다. 자존감은 우월함에서 비롯된 우쭐함이나 누군가에게 사랑받고 인정받아 얻어지는 일시적 만족감이 아닙니다.
자존감의 본질은 자신에 대한 신뢰이자 행복을 누릴 만한 사람이라 여기는 자기 존중감입니다.
스스로가 믿고 존중할 내면 세계를 세우고 그 신념을 바탕으로 삶을 선택하고 행동하며 책임을 지는 삶의 일련의 과정에서 얻어지는 내면의 힘입니다.
2. 나다운 삶을 찾을 것
기존의 사회 가치 체계를 그대로 순응하고 사회와 부모가 요구하는 기준에 맞춰 사는 것에 더 익숙한 삶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자신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나는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는지 어떤 가치를 실현하며 실고 싶은지 무엇에 행복해지는 사람인지 나는 남과 어떻게 다른지 자기 감각을 찾아야 합니다.
의존심을 버린다는 게 두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고민과 위기의 순간을 지났을 때 비로써 스스로가 신뢰하고 존중할 수 있는 나다운 삶이 시작될 것입니다.
3. 세상의 정답에 굴복하지 않을 것
한 캐나다 출신의 원어민 강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smart student를 good student라고 생각하는 거 같습니다. 공부를 못해도 good student일 수 있고 공부를 잘해도 good student가 아닐 수 있는데 말이죠."
잘 산다는 의미 역시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잘 산다는 요소도 경제적인 기반 외에도 건강한 신체, 좋은 인간관계, 철학과예술을 즐길 수 있는 심미안, 일을 통해 느끼는 보람 등 다양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에게 잘 사는 것 이란, 즉 웰빙이란 부자인 삶의 의미로만 이야기합니다. 많은 가치들을 잊은 채 높은 기준의 단일화 된 정답을 요구하는 사회에 굴복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 정답들에 주눅 들어 스스로의 가치를 절하해서는 안 됩니다. 모두가 날씬할 수 없고 모두가 사람들이 좋아하는 성격일 수 없고 모두가 명문대를 나와 대기업에 갈 수는 없습니다.
좋은 학생에는 여러 정의가 있고 잘 사는 것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우리는 각자의 답을 가질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오답이 아닌 각기 다른 답입니다. 우린 잘못이 없습니다
모두가 나로써 당당하게 살아가도 좋습니다.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세상의 정답에 절대 굴복하지 마세요! [자존감, 심리학, 심리상담] 심리 처세술 인생 행복 스트레스에 관한 책 추천 도서
--------------------------------------------------------------------------------------------------------------------------------
미국의 심리학 아버지라고 부르는 월리엄 제임스는 자존감을 이렇게 나눴습니다
자존감 = 성취의 수준 ÷ 야망성
이것의 월리엄 제임스는 성공의 수준을 높이거나 자신의 향한 기대치를 낮추는 것이 자존감을 높이는 현명한 방법이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저의 생각은 절대적 수준의 낮은 자존감은 자기가치감이 낮을 수록 자기 자신에게 멀어지고 위험한 경향성은 분명하지만 어디까지나 자기평가라고 생각을 합니다 세상에서는 절대적 수준의 낮은 자존감은 존재하지를 않는다고 생각을 합니다
사람은 생각을 하는 대로 움직이는 생명체이다 보니 내가 단지 모든 것을 못하고 남들보다 뒤쳐진다 생각을 하면
오히려 나도 모르게 생각이 따라 행동 할때가 분명 존재합니다 그냥 우리는 그저 그럭저럭 대충 자기가 괜찮은 사람이라고 느끼시면 됩니다
그리고 일이 잘 안되고 쉽게 화가나는 것은 우리들도 마찬가지이고 인간으로서 누구나 일어나기에 쉽습니다 그래서 그것에 불만이나 우울에 시달려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한번 지금은 무엇을 하고 싶고 다른 것에 대한 흥미를 만들어보세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그 분야 혹은 그것에 장점이 되어 있을수 있습니다 끼와 재능과 장점은 사람마다 존재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이 흥미와 희열도를 가지면서 그것을 파고 들고 재미를 느껴야 재능이자 장점이라고 할수 있는 거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우리들은 나 자신을 모르고 살아왔고 그렇다고 해서 뇌를 힘들게 해서는 안됩니다.
각자 자존감 컨트롤 방법이 다르지만 자신의 자존감을 지켜보세요!
'자기개발, 동기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마인드,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0) | 2019.05.02 |
---|---|
부자되는 법,창업에 실패할 수 없는 단 하나의 법칙 (0) | 2019.05.01 |
부자되는 법, 부자들이 절대 가르쳐 주지 않는 비밀 (0) | 2019.04.27 |
베스트셀러,작가 말콤 글래드웰의 글쓰기 조언 (0) | 2019.04.25 |
목표, 내 인생을 바꾸는 한 단어의 힘 원 워드 (0) | 2019.04.22 |